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김훈의 소설 "칼의 노래" 리뷰: 이순신 이야기

반응형

시작하며: 영웅 이순신이 아닌 한 사람 이순신

회사 선배가 말을 걸었다. 김훈의 소설 "칼의 노래"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하셨다. '때가 되면 찾아오는 끼니의 무서움'에 대한 이야기였다. 나는 소설을 읽지 않았기에 대답하지 못했다. 그리고 집에 와서 바로 책을 읽었다.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1위로 항상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이 있다. 나 역시 그랬다. 하지만 이순신을 존경하는 이유는 구체적이지 못했다. 목숨 바쳐 나라를 지킨 인물은 무수히 많다. 그런데 왜 하필 이순신이었을까? 

어쩌면 그저 영웅 이순신에 대하여 배웠기 때문이 아닐까? 소설 "칼의 노래"는 이순신의 독백으로 이루어진 임진왜란 당시의 서사로 이루어진 소설이다. 영웅 이순신이 아닌 인간 이순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렇기에 어린 시절의 일화도 없고, 임진왜란 이전이 삶에 대한 이야기도 없다. 대신 '난중일기'의 내용이 많이 들어가 있었다. 

이순신을 다룬 영화에서처럼 드라마틱한 장면이나 멋진 장면이 없었다. 그저 비참하고 비장한 이야기였다.  

 
칼의 노래
2001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한 김훈의 소설 『칼의 노래』. 한 국가의 운명을 짊어진 당대의 영웅이자, 정치 모략에 희생되어 장렬히 전사한 명장 이순신의 생애를 그려냈다. 작가는 시대의 명장 이순신뿐만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의 이순신을 함께 표현해내며 사회 안에서 한 개인이 가질 수 있는 삶의 태도에 대해 이야기한다. 삶과 죽음이 엇갈리는 전장에서 영웅이면서 한 인간이었던 이순신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공동체와 역사에 책임을 져야 할 위치에 선 이들이 지녀야 할 윤리, 문(文)의 복잡함에 대별되는 무(武)의 단순미, 4백 년이라는 시간 속에서도 달라진 바 없는 한국 문화의 혼미한 정체성을 미학적으로 다루고 있다. ▶ 이 책은 2001년에 출간된 〈칼의 노래〉의 개정판입니다.
저자
김훈
출판
문학동네
출판일
2012.01.05

 

전쟁의 비참함, 그리고 외로운 싸움

우리 나라도 전쟁을 겪은 지 벌써 70년 이상이 흘렀다. 이 책은 잊혀 가던 전쟁의 참상을 되새기게 한다. 마을에는 남자가 없으며, 여자들은 왜군들의 노리개가 되어 죽음만도 못한 삶을 살게 된다.  백성들은 같은 나라 사람들에게도 배신당하고, 비참하게 죽음을 맞이한다. 전쟁이 가장 나쁜 점은, 아무런 잘못이 없는 사람이 비참하고 잔혹한 일을 겪는다는 것이다.

이순신은 왕에게 의심받는 장군이었다. 왜군도 적이었고, 자신의 상관은 자신의 공훈을 세우려 닥달한다. 그는 외로운 전쟁을 했다. 적이 많은 인물들이 그러하듯 이순신 장군은 성격이 온순하거나 무난한 사람은 아닐 것이다. 삼국지의 장비, 공자의 제자 자로처럼, 지나친 의로움은 오히려 적을 만든다. 

지원군이랍시고 찾아온 명나라 부대 역시 큰 도움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적장과 협상하며 자신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전공만을 세우려는 모습을 보인다. 차라리 없는 게 나아 보이는 모습이 나오고, 명나라 장군을 베어버릴까 고민하는 이순신의 독백은 공감이 갔다. 명나라 입장에서는 왜군을 섬멸하는 것보다는 전쟁을 끝내는 것이 최우선이었다. 

최근 우크라이나를 보면 비슷한 모습이다. 주변 국들은 도움을 주지만 자국의 피해는 절대 입지 않고자 한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영토의 1/3을 잃은 상태에서 영토를 되찾기 전까지 종전은 없다고 외치고 있다. 하지만 직접 피해를 입지 않은 주변국은 전쟁을 끝내고 싶어 한다. 

세상이, 운명이 이순신을 내몰고 있었다. 이순신은 그러한 모든 것을 자신의 몸 안에 품고서 도망치지 않았다. 해야 할 것을 해 나가면서 전투를 준비한다. 

책 표지
책 표지

'몸'으로 표현되는 한계를 떠안고 싸우다

 

이 작품에 나오는 이순신은 나와 크게 다르지 않다. 나약한 인간일 뿐이다. 

밤에 자면서 식은땀을 흘리고, 악몽을 꾼다. 어머니와 자식의 죽음으로 큰 고통을 겪는다. 날이 추워지면 허리와 무릎이 아픈 '아저씨'일뿐이다. 이러한 고통을 어떻게 승화시키지 못한다. 그는 그저 떠안고 있을 뿐이었다. 다만 해결해야 할 것들을 꾸준히 해결해 나간다.  

가장 현실적인 문제이자 중요한 것은 병사들이 먹을 음식이 없다는 것이었다. 드디어 위에서 말했던 회사 선배가 말했던 대목이다. "굶더라도 다가오는 끼니를 피할 수는 없었다"라는 표현에서 커다란 공포심이 느껴진다. 아무리 전쟁 전략을 잘 짜도, 밥이 없으면 굶어 죽을 수밖에 없다. 

소설 내내 먹을 것을 확보하기 위해서 전쟁을 벌인다. 레이 달리오가 "변화하는 세계질서"에서 언급했듯, 전쟁에서 승자는 고통을 가하는 능력보다 '고통을 견디는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끼니는 벨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무인이자 군인으로서 벨 수 없는 것들을 두려워한다. "헛 것은 베어지지 않는다"라고 말하며, 무인으로서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계속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싸움을 재촉하는 선조의 견제와 의심에 시달린다. 또한 정치적 견제에도 매끄럽게 대응하지 못한다. 전쟁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으로 급 마무리되기 시작한다. 왜군을 곱게 보내주어야 하는 상황이 되자 이순신은 밤새 울부짖는다. 

무력감과 한계에 몸서리치는 한 아저씨, 그것이 이순신이었다.

 

 마치며: 사내야, 사내가 죽어야 한다

 

역사에서 알려진 대로, 마지막 전투인 노량 해전에서 이순신의 죽음으로 소설은 끝이 난다. 죽음 이후의 충무공 시호를 받은 것이나, 그 엄청난 공을 세움을 책에서는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애초의 이 소설은 이순신의 독백으로 이루어졌기에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책장을 덮고 나서 많은 여운이 남는다. 비극적인 인물의 비극적인 결말 때문일까? 사실 이순신을 위해서 비극적 결말은 아닐지도 모른다. 전사하는 것이 자신을 위해서도, 임금을 위해서도 좋았을 것이다. 아마 생존했다면 역적 누명 등을 씌우면 씌었지, 충무공의 시호를 내려주지는 않았을지도 모른다. 

가장 인상깊게 남아있는 장면은 군인이 아닌 평민 어부 부자가 이순신을 도와 싸우다 죽는 장면이다. 먼저 아버지가 죽는다. 아들의 품에서 아버지는 유언으로 "사내야, 사내야, 사내가 죽어야 한다" 라며 눈을 감는다.  이 말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내게는 자신은 사내이니 죽음을 너무 슬퍼하지 말라는 유언으로 들렸다. 아들은 눈물을 흘리며 다시 노를 저어 왜군에게 돌진한다.

문득 육군 훈련소에서 배웠던 군가의 소절이 떠오른다. 

"피와 땀이 스며있는 이 고지 저 능선에 쏟아지는 별빛은 어머니의 고운 눈빛" 

군가들은 가사들이 하나같이 정말 좋았다. 같은 리듬으로, 큰 소리로 부르면서 한 구석에서는 알 수 없는 애련한 기분이 들고는 했다. 전쟁이 난다면, 사랑하는 가족을 위하여, 사내가 죽어야 한다. 

이순신 같은 영웅적 인물도, 결국은 죽어야 하는 사내들 중 하나였을 뿐이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